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고독사 예방 스마트플러그 설치 신청 방법 총정리
pyeontae 님의 블로그
2025. 5. 12. 01:16
2025 서울시 고독사 예방 스마트플러그 설치 신청 방법 총정리
서울시에서는 1인 가구의 고독사 예방과 안전한 생활 환경 구축을 위해 스마트플러그 설치를 무료 지원하는 복지 사업을 운영 중입니다. 이 글에서는 신청 대상, 설치 절차, 신청 방법부터 사후 관리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안내해드립니다.
📌 스마트플러그 설치 지원이란?
- 고독사 위험이 높은 1인 가구에게 IoT 기반 스마트플러그를 설치해
- 가전제품 사용 패턴 분석을 통해 이상 징후 감지 시 자동 알림 전송
- 지자체와 연계하여 응급출동·상황 대응 가능
- 설치·유지비 무료, 통신비 지원 포함
※ 이 사업은 ‘서울시 고독사 예방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25개 자치구에서 순차 확대 중입니다.
🧑💼 신청 대상
- 서울시 거주 만 50세 이상 1인 가구
- 고독사 위험군으로 판단되는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사회적 고립 가구
- 건강·정신적 취약계층 또는 지자체 복지플래너 추천 대상자
📝 신청 방법 (오프라인 위주 접수)
✅ 동주민센터 또는 복지플래너를 통한 신청
- 거주지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유선 문의
- ‘스마트플러그 설치 지원 신청서’ 작성
- 복지 담당자 판단 하에 현장 실태조사 진행
- 설치 가능 여부 결정 후 일정 조율
✅ 설치 및 사후 관리 절차
- 전문 설치 업체가 가전 제품(주로 전기밥솥, TV 등)에 스마트플러그 설치
- 이후 24시간 동안 활동 패턴 모니터링 자동 시작
- 일정 시간 이상 활동 감지 안 될 경우, 지자체에 자동 알림
- 응급대응 → 방문 확인 또는 119 연계
📎 제출 서류
- 신청인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 증명서 (해당자만)
- 복지 담당자의 사전 면담 기록 (현장 판단 자료로 활용)
🙋 자주 묻는 질문 (FAQ)
🔖 스마트플러그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나요?
플러그에 연결된 전기 사용 패턴(전기밥솥, TV 등)을 감지해 일상적인 활동이 멈춘 시간을 분석해 이상 징후를 감지합니다.
🔖 임대주택, 고시원 거주자도 신청 가능한가요?
네. 거주 형태와 무관하게 서울시 거주 1인 가구라면 가능하며, 복지 취약 계층일수록 우선 지원됩니다.
🔖 유지 비용이나 통신비는 본인 부담인가요?
아니요. 설치비, 기기비용, 통신료 모두 서울시에서 전액 지원합니다.
🔔 마치며
서울시의 스마트플러그 지원 사업은 단순한 기술 설치가 아닌, 1인 가구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생명 안전망입니다. 주변에 고독사 위험이 우려되는 분이 있다면 지금 바로 주민센터에 알려주세요. 다음 글에서는 독거노인 응급안전 알림서비스 신청법도 함께 소개해드릴게요. 😊